본문 바로가기

관광통역안내사 필기

관광통역안내사 필수 개념 총정리! ✈️💼

728x90

관광의 개념

관광은 단순한 이동이 아니라 특정한 목적과 동기를 가진 활동입니다. 관광의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이동성: 특정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
  • 회귀성: 여행 후 다시 원래의 장소로 돌아옴
  • 탈일상성: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환경을 경험
  • 소비성: 여행 중 경제 활동이 발생

관광의 정의 📖

  • 주나라 역경(주역): "관국지광 이용빈우왕" → 국가의 빛을 보고 왕을 접대하는 것
  • 영국 [The Sporting Magazine]: 'tourism'이라는 용어 최초 사용

관광객의 요건 🚶‍♂️

  • 국제노동기구(ILO): 24시간 이상 체류 또는 하루 초과 숙박 필요
  • OECD: 국제 여행의 경우 6개월 이내 또는 3개월 이하 체류 기준

관광 연구의 주요 인물 💡

  • 볼만(Burman): 관광의 목적 강조
  • 오길비(Ogilvie): 관광의 소비 개념
  • 글릭스만(Glucksman): 관광과 인간관계
  • 마리오티(Mariotti): 이동성 강조
  • 쉴레른(Schüllern): 최초의 관광 개념 정의

관광의 3요소

1️⃣ 관광의 주체

  • 관광욕구: 여행을 원하는 동기
  • 관광동기: 여행을 실행하게 하는 요인

2️⃣ 관광의 객체

  • 관광자원: 자연환경, 문화유산 등
  • 관광시설: 호텔, 관광지 등

3️⃣ 관광의 매체

  • 공간적 매체: 교통시설
  • 시간적 매체: 숙박시설
  • 기능적 매체: 가이드, 관광서비스

관광의 분류 🌍

  • 국내관광 (Domestic Tourism): 내국인이 국내에서 관광
  • 국외관광 (Outbound Tourism): 내국인이 외국으로 여행
  • 외래관광 (Inbound Tourism): 외국인이 국내를 방문
  • 외국관광 (Overseas Tourism): 외국인이 또 다른 외국을 방문

추가 개념

  • Internal Tourism: 국내에 한정된 내국인의 관광
  • National Tourism: 내국인의 국내외 관광 포함
  • International Tourism: 국경을 넘어선 모든 관광 활동
  • Intrabound Tourism: 국내 거주 외국인의 국내 관광

✔️ 참고: 승무원은 관광객으로 분류되지만, 주한미군과 같은 군인은 포함되지 않음.

관광의 발전 과정 ⏳

1️⃣ Tour 시대 (1830년대 이전)

  • 목적: 순례, 귀족의 문화 탐방
  • 동기: 신앙심과 학문적 호기심

2️⃣ Tourism 시대 (1840년대~2차 세계대전까지)

  • 산업혁명 이후 대중 관광 등장
  • 주요 요인: 교통 발달(기차, 증기선), 여가 시간 증가

3️⃣ Mass Tourism (대중 관광, 2차 세계대전 이후)

  • 일반 대중까지 관광 참여 확대

4️⃣ New Tourism (1990년대 이후)

  • 개인화된 여행, 현지 문화 체험 중시 (SIT: Special Interest Tourism)

관광의 역사 📜

  • 고대 그리스: 종교, 체육, 요양 목적 관광 활성화
  • 로마 시대: 식도락 관광, 교통 및 숙박시설 발달
  • 중세 시대: 십자군 전쟁 이후 동방에 대한 관심 증가
  • 근세 시대: 인격 수양을 위한 그랜드 투어(Grand Tour) 유행
  • 조선 후기: 최초의 근대적 호텔(인천 대불호텔), 최초의 서양식 호텔(서울 손탁호텔)

한국 관광 발전사

  • 1960년대: 1962년 한국관광공사 설립, 1965년 관광통역안내사 시험 도입
  • 1970년대: 1975년 관광기본법 제정
  • 1980년대: 1986년 아시안게임, 1988년 서울 올림픽, 1989년 해외여행 자유화
  • 1990년대: 1993년 대전 엑스포, 1997년 IMF 경제 위기

관광의 긍정적 효과 🌱

경제적 효과: 고용 창출, 지역 경제 활성화 ✅ 사회적 효과: 국가 이미지 개선, 문화 교류 촉진 ✅ 환경적 효과: 문화재 보호, 생태 관광 활성화

관광의 부정적 효과 ⚠️

오버투어리즘(Over Tourism):

  • 사회적 효과: 물가 상승, 지역 주민과의 갈등
  • 경제적 효과: 상업화로 지역 경제 불균형 발생
  • 환경적 효과: 자연 훼손, 쓰레기 문제
  • 문화적 효과: 전통문화 상실, 문화 상품화

관광 욕구 및 동기 이론 🎭

  • 글릭스만(Glucksman): 정신심경 이론 → 정신적, 신체적, 심리적, 경제적 동기
  • 매킨토시(Macintosh): 문신대지 이론 → 문화적, 신체적, 대인적, 지위적 동기

마무리 🌟

이 내용은 관광통역안내사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핵심 개념입니다. 관광의 개념, 역사, 유형, 긍정적/부정적 효과까지 꼼꼼하게 정리하여 대비하세요! 🎓📚

728x90